Korea: Internet and Anonymity

Internet portal sites in Korea will use the real-name comment system (daet-geul sil-myeong-je) from this month. Two major portal sites, Daum and Naver, already started from the 27th of June, and 35 other major portal sites will implement the system this month.

In Korean portal sites, internet news or blog news have ‘comments or responses section’ under the posts and they are called daet-geul (they usually have short contents and netizens write their opinions casually). Because it is possible to write it anonymously, some contents are not appropriate, or posted not in earnest, or represent personal attacks. What to do about this situation has been a topic of debate.

Several days have passed. Bloggers share their opinions of this new system.

Some bloggers, like minicactus, have worried about side-effects.

분명 댓글 실명제를 시행한 다음에 악성 댓글의 수위가 낮아지긴 했지만, 그 수에서는 예전과 별로 다르지 않아 보인다.결국 악성 댓글이 사라지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고, 현재까지는 댓글 실명제가 별로 효과가 없어보인다.더 걱정되는 문제는 네이버와 다음에서 악성 댓글을 달던 사람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작은 커뮤니티 사이트로 분산되어 인터넷 전체의 분위기가 흐려지는 것이 아닐까 하는 염려다.

Since the real-name comment system, the level of malignant contents has been lower, but the number has not been dramatically decreasing. It will take time for the bad comments to disappear from the internet. Until now, it seems that it is not so effective. What I’m worried more is that these respondents with bad habits will be dispersed to small community sites and, therefore, the holistic atmosphere of the internet would be generally bad.

Whether this system would control the freedom of expression is the major concern of some bloggers, like hansfamily.

…이 제도 시행에 상당부분 반대를 하는 기류가 많은 것 같다.반대하는 주요 이유로 첫째, 인터넷 정신과 자율성에 훼손을 입힌다는 것, 둘째, 자유로운 언로의 통로가 막힐 것이라는 것, 그리고 기본적으로 권력에 의한 통제가 가능해질 것이라는 것 등이 주로 언급되고 있다.
물론 상당부분 일리있는 주장이며 기본적인 원칙에 대해서는 나도 부정할 생각은 없다.그러나 익명성 뒤에 숨어 남을 비방하고 욕을 하며 옳지않은 방향의 소문과 있지도 않은 사실의 유포가 확대되는 이 독버섯같은 사회현상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그건 이런 법과 같은 강제성이 아닌 사용자(네티즌) 스스로의 자율 정화에 의해 극복되어야 한다고들 이야기 한다. 너무나 이상적인 희망사항 아닌가?
진짜 아무생각없는 댓글과 비방글로 인해 자살과 자괴감에 빠져 인생을 마감하는 경우를 우리는 종종 보아왔으며 그때마다 사회적 분위기로 각성을 촉구하곤 했다. 그러나 어떤가? 바뀌어가고 있는가? 오히려 더 심각해지고 있지는 않은가?

… it seems that not a few people tend to oppose this system. There are several reasons. The first is that it could damage the basic principle and freedom of the internet, the second is it could interrupt freedom of speech, and the last is the possibility it could be controlled by the authorities.
All these arguments are reasonable and I don’t deny the basic principle either. But how can we overcome this social phenomenon like poisonous mushrooms whereby fake stories are believed like true stories and people blame others? Some people say that it should be overcome by netizens’ wills, not by force. But isn’t that way too idealistic?
We have seen several incidents where some people commit suicide or are depressed due to these nasty comments, and this issue has been a great eye-opener for society. But what has happened so far? Has something changed? Isn’t it getting more serious?

몇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인터넷 실명제에 대하여 토론을 벌이며 찬반에 대해 논의해 왔다. 당시에는 사회적 여론 대부분이 실명제에 대해 강력 반대 입장이었다. 그런데 요즘 들어 보니 그 사회적 여론도 일부 바뀌어가고 있다. 절대적인 반대 보다는 부분적 도입을 통해 익명성에 의한 악영향을 막아보자는 방향으로 말이다.
한 가지 궁금한 것은 주민등록번호를 확인한다고 하는데, 외국인이나 주민번호가 없는 해외 동포의 경우에는 아예 언로가 막혀버리는 것인지…

There have been arguments about whether we have to accept this ‘internet real name comment system’ for several years. At that time, the major opinion was against it. But it has been changing. Rather than absolute objections, the partial application is considered in order to interrupt the bad influence of anonymity.
One thing I am curious about is whether, like I heard, they will check ID numbers. How about foreigners or overseas Koreans who don’t have ID numbers?

A blogger brought up issues of a much bigger scope: bad comments and our education.

악플이 넷상의 주요 이슈를 넘어 사회문제가 된 지도 참 오래다. 나 역시 언젠가 부터 뉴스 댓글에 달리는 악플을 보지 않는다.지독한 악취가 나는 쓰레기 장 주변에 얼씬 거리지 않는 건 누구나 다 마찬가지가 아니겠는가? 인터넷 초기 댓글은 참 신선하고 재밌는 기능이었다.게시글에 대해 내 의견을 표현하고 싶을 때 따로 창을 열어 작성하고 봐야하는 답글에 비해 원문을 보면서 바로 아래 즉각적으로 달린 댓글은 참 편리했다. 굳이 긴 글을 달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별 고민 없이 쉽게 달 수도 있고 , 종종 짧은 댓글 속에서 센스있는 표현들이 오고가면서 댓글 문화라는 것도 웹을 이야기 할 때 빼 놓을 수 없는 요소가 되었다. 비약일지도 모르겠지만,서비스 사용자와 사용자 간, 때로는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간에 활발하고 즉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살아나면서 우리나라 인터넷 문화도 더욱 발전했고, 그에 따라 사용자들의 욕구와 니즈가 반영된 서비스들이 이만큼 발전해 올 수 있지 않았을까 싶다..

From sometime, I have tended not to read the comments and responses of posts. Wouldn’t everyone avoid stinky trash bins? In the early times, these comments and responses were a really fresh and fun function. This function was really convenient because we can express opinions on reading the post right away. It is much better than the reply system in which we have to open another window to write down our opinions. Because we don’t have to write down a long opinion, we write down what we feel without any serious thought. Writing is short, but there are numerous fresh expressions. I might jump to a conclusion way too fast, but instant and fast communication between service customers, and service suppliers and customers has brought faster development of internet culture in Korea. Therefore, customers’ desire and NIES have been developed fast.

뭐든 지나치면 꼭 부작용이 나타나는 건가..이제 댓글은 예전의 댓글이 아니다.
악플러의 비율이 전체 이용자의 극히 일부인 0.06% 라고는 하지만, 소수의 악플러에 의한 문제들이 사회현상으로 발현되고 있다면, 분명 해결해야 한다. 그렇다면, 실명제가 정답일까.. 실명제의 실시로 인해 제한받게 되고, 억압받을 우려가 있는 개인의 표현의 자유는 어떤식으로 보상받고 최소화 할 수 있을까..

However, anything should not be too much. Comments and responses have changed. Even though 0.06 percent is the only malignant respondents, this small number causes problems and appears as a social issue, and, therefore, we should solve this problem. Then, is the ‘real name system’ the right answer? Due to this, the freedom of opinion and speech would be controlled, and then how can we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악플은 온라인의 문제지만, 오프라인에서 그 원인을 찾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실제 오프라인에서 사람들과 이야기 해보고 토론을 해보면…
자기 주장과 조금만 달라도 쉽게 화를 내고 흥분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나의 현상과 사실로 전체를 판단해 버리는 사람들이 있다.
주장을 펼칠 때, 논리보다는 감정과 선입견을 주요 근거로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또, 어떤 사람들은 진지한 주제 자체에 거부감을 갖고 조롱하고 비꼬는 것이 재밌고
멋있는 것인양 행동하는 사람들이 있다.정작 면전에 대고는 아무말도 못하지만, 뒤에서는 온갖 욕설과 불만을 털어내는 사람들이 있다.

I think that malignant respondents are problems in the internet world, but we should find the cause in the off-line world.

As a matter of fact, if you sometimes try to have conversations and discussions with others in the off-line world, there are people who are easily angry at others who have different opinions. There are people who judge everything with one symptom or fact. There are people who talk based on emotion and prejudice rather than logical reasons. Or, there are people who refuse to talk about serious topics, who tend to mock those kinds of people (who are serious), and regard their own behavior as cool. There are also people who talk behind the backs of others and complain behind even though they cannot say anything in front of other people’s faces.

결국, 이런 사람들이 인터넷에서 악플을 양산하는 게 아닐까..정상적인 커뮤니케이션에 취약한 이들을 양산한 건 또 무엇일까..
중고교 시절부터 확실히 우리는 토론과 의견을 말하는 것에 익숙치 않은 환경에서 자라왔다. 수업시간에 선생님이 질문이라도 할라치면, 다들 눈을 맞추지 않으려고 애썼고, 선생님의 수업내용에 대해 자발적으로 질문을 하는 경우는 한 학기에 한 두 번도 보기 힘들었다.

In the end, aren’t these kinds of people raising malignant comments and responses on the internet? Why do we have people who are bad at normal communi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period, we were raised in an atmosphere unfamiliar with discussion and opinions. If teachers ask some questions, students tried not to have eye contact with the teachers. It is hard to find one or two students who voluntarily ask questions to teachers in a semester.

어쩌다 질문이라도 한 아이는 친구들 때론, 선생님에게 무안을 당하기 일쑤였고,혹여 수업 시간 끝나갈 때 쯤 질문이라도 하려면 친구들의 눈총을 사야 했다.아이들이 뭘하건 아랑곳 않고, 수업시간 내내 자기 할말만 하다가 가는 선생도 부지기수 였다.

이런 교육 환경속에서 건강한 토론과 대화의 방법을 제대로 체득하지 못한 커뮤니케이션에 취약한 수많은 사람들이 양산되어 왔다고 생각한다.

악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교육이 바로서야 하고,교육을 통해 올바른 토론과 대화가 자연스럽고 자유스럽게 일어나는 사회가 되야 한다.

물론, 참 이상적인 얘기이긴 하다..현실적으로는 실명제 또는 제한적 실명제, 또는 그와 비슷한 제한적 장치가 더 효과가 있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교육이 바로서야 한다고 나는 믿는다..

Sometimes students who asked questions were easy to be humiliated by other students or teachers. If some students ask questions when the class is almost done, they have to put up with being at glaring at by other students. Some teachers disregard students.

Under this education circumstance, we raised numerous people who didn’t acquire healthy discussion and conversation method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ducation should be straight and, through the education, upright atmosphere for discussion and conversation should be take root in our society.

Of course, it seems to be ideal. In reality, applying the real-name system, limited real-name system, or other similar limited policy would be more effective.

However, I believe that education should change first.

3 comments

Join the conversation

Authors, please log in »

Guidelines

  • All comments are reviewed by a moderator. Do not submit your comment more than once or it may be identified as spam.
  • Please treat others with respect. Comments containing hate speech, obscenity, and personal attacks will not be approved.